minlog

구조분해할당 = 비구조화 할당

원하는 속성들만 꺼내서 변수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. 

 

1. 구조분해할당 객체 사용

const user= {
	name ='Heropy',
    age =85,
    email ='thesecon@gmail.com'
}

const {name, age, email, address} = user

console.log(`사용자의 이름은 ${name}입니다.`); 
//결과값 : 사용자의 이름은 Heropy입니다.
console.log(`${name}의 나이는 ${age}입니다.`); 
// 결과값 : Heropy의 나이는 85입니다.
console.log(`${name}의 이메일은 ${email}입니다.`);
// 결과값 : Heropy의 이메일은 thesecon@gmail.com 입니다.
console.log(address); //결과값 : undefinde

 

속성이 없을 시 undefinde또는 에러가 날 수 있는데, 기본값을 지정해줄 수 있다.

const {name, age, email, address ='korea' } = user
console.log(address)  // korea

 

변수의 명을 변경 하고 싶을때 

1. 
const {name, age, email, address ='korea' } = user
const heropy = name

2.
const {name:heropy , age, email, address ='korea' } = user
const heropy = name


console.log(`사용자의 이름은 ${heropy}입니다.`);

 

 

 

2. 구조분해할당 배열 사용

배열 데이터도 사용가능하다.

객체와 달리 인덱스 순서대로 꺼내와진다.

const fruits = ['Apple','Banana','Cherry'];
const [a,b,c,d] = fruits
console.log(a,b,c,d)
//출력값 : Apple Banana Cherry undefind

 

원하는 값만 추출하고 싶을때

const fruits = ['Apple','Banana','Cherry'];
const [,b] = fruits
console.log(b)
//출력값 : Banana

 

profile

minlog

@jimin-log

포스팅이 좋았다면 "좋아요❤️" 또는 "구독👍🏻" 해주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