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SP 액션 태그
< JSP : 액션태그명 속성1="값1" 속성2 = "값2" ... / >
- JSP 페이지에서 페이지와 페이지 사이 제어
- 다른 페이지의 실행 결과 내용을 현재 페이지에 포함
- 자바 빈즈(JavaBeans)등의 다양한 기능 제공한다.
액션 태그의 종류 6가지
※ 자식 요소로 사용되는 param
다른 페이지에 여러 개의 정보를 전송해야할 때는 다중의 param 액션 태그 사용이 가능하다.
ex ) include / forword 다른페이지에 원하는 데이터를 전달 할 수 있다.
<jsp:include page="includeTagTop2.jsp">
<jsp:param name="siteName" value="JSPStudy.co.kr" />
</jsp:include>
1. include
단순히 외부 페이지를 포함 시키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값 전달하고 다시 받아오는 역할을 함
기본
<jsp:include page="로컬 URL" flush="trure" / >
속성값
속성이름 | 내용 |
page | 현제 JSP페이지 내에 포함 시킬 외부 파일명 |
flush | 설정한 외부파일로 제어가 이동할때 현제 페이지의 저장 결과 처리 기본값 ( false ) |
🍫 이름값 액션태그로 전달하고 받아보기
<html>
<head>
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UTF-8"/>
</head>
<body>
<h1>Include Tag Example2</h1>
<form method="post" action="includeTag2.jsp">
SITENAME : <input name="siteName"><p/>
<input type ="submit" value="보내기">
</form>
</body>
</html>
<%@page contentType="text/html;charset=UTF-8"%>
<%
request.setCharacterEncoding("UTF-8");
String siteName = request.getParameter("siteName");
%>
<html>
<body>
<h1>Include Tag Example2</h1>
<jsp:include page="includeTagTop2.jsp">
<jsp:param name="siteName1" value="JSPStudy.co.kr" />
</jsp:include>
include ActionTag의 Body입니다.<p/>
<b><%=siteName%></b>
<hr/>
</body>
</html>
<%@page contentType="text/html;charset=UTF-8"%>
<%
String siteName = request.getParameter("siteName1");
%>
include ActionTag의 Top입니다.<p/>
<%=siteName%>
<hr/>
2. forwoard
현재 JSP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태그이다.
현재 JSP 페이지에서 forward 액션 태그를 만나면, 그 전까지 출력 버퍼에 저장되어 있던 내용을 모두 삭제하고 forward 액션 태그에 설정된 페이지로 프로그램의 제어가 이동한다.
<jsp:forward page="forwardTag1_2.jsp" />
3. plug-in
자바 플로그인을 사용하여 자바 애플릿을 JSP페이지에 실행할때 사용
<jsp:plugin>
4. useBean
jsp페이지의 디자인 부분과 비즈니스 로직 부분을 분리함으로써 JSP코드를 줄이고 프로그램의 재 사용성을 증가 시킨다.
자바빈은 다른 클래스와 달리 규정되어 있는 규격에 따라 작성하며, 이에 맞지 않을 경우 자바빈의 특성을 갖지 않는 클래스가 될 수 있다.
<jsp:useBean id="빈 이름" class="자바빈 파일의 패키지.클래스명" scope="유효범위" />
scope : 자바빈의 객체가 저장될 영역을 지정한다.
영역 | 설명 |
page | 현제 페이지에만 적용되고 페이지 처리가 끝나면 유효하지 않음 |
request | request 요청을 받고 처리를 완료할 때 까지 유효 |
session | 사이트 전체 범위를 갑지만 지속시간이 있음 |
application | 사이트 전체 범위를 갖고 계속 유지 |
5. setProperty
자바빈 파일의 setter 메서드를 사용하기 위해, 즉 데이터의 값을 설정할 때 사용된다.
<jsp:setProperty name="빈 이름" property="필드명" value="값" />
property="*" 속성에 *을 사용하면 프로퍼티와 동일한 이름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setter메서드를 생성한 모든 property 필드에 대해 값을 설정할 수 있다.
6. getProperty
자바빈 파일의 getter 메서드를 사용하기 위해, 즉 저장된 데이터의 값을 읽어올 때 사용된다.
형식은 아래와 같다.(참고로 getProperty 액션태그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.)
<jsp:getProperty name="..." property="..." />
[ Servlet / JSP ] Servlet · JSP 기초 개념 정리 / JSP 지시자 3가지
[ JSP/Servlet ] 웹 프로그래밍개발환경 구축 웹 서버,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설치 1. 톰켓 설치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웹 서버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톰켓 홈페이지에서 원하는 버전( Tomcat 8 ) 다운
jimin-log.tistory.com
'BackEnd > Servlet · J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Servlet / JSP ] JSTL · EL 기본 문법 (0) | 2023.02.05 |
---|---|
[ Servlet / JSP ] Form태그 GET · POST 데이터 · 파일 전송 (0) | 2023.02.04 |
[ Servlet / JSP ] JSP 내부 객체 / 세션과 쿠키 예제 (0) | 2023.02.02 |
[ Servlet / JSP ] Servlet · JSP 기초 개념 정리 / JSP 지시자 3가지 (0) | 2023.02.01 |
[ Servlet / JSP ] 웹 프로그래밍개발환경 구축 (0) | 2023.02.01 |